사용 시간대에 대한 Bitly 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.
Q. Bitly 는 어떤 시간대를 사용하며, 유저가 이를 바꿀 수 있나요?
A. Bitly 는 UTC 를 사용하며, 이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.
...바꿀 수 없단다.
그러니 만일 다음과 같은 자료가 있다면
실제 오후 2시, 5시에 들어온 것은 아닐 테고, 한국시간으로 몇 시에 들어온 것인지 따져봐야겠다.
GMT와 UTC의 개념설명에는 '그리니치 평균시', '세슘 원자 진동수' 같은 복잡한 얘기가 등장하겠으나 아주 단순화시키면 다음과 같다.
GMT = UTC = 세계의 기준 시각
KST =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 = UTC + 9시간
위 자료의 2:00PM 은 UTC 기준이므로, KST로 변환하면 +9를 하여 11:00PM이 된다.
마찬가지로 KST를 UTC로 변환해야 할 경우는 -9를 하면 된다.
간혹 헛갈리는 이유는 흔히 말하길
한국의 시간은 UTC보다 9시간 '빠르다'
고 하는데, 직관적으로 시간에 9를 '더하는' 것은 '느려지는 것' 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서 그렇다.
예를 들어 12시보다 1시간 빠른 것은 11시, 그러니까 뺄셈을 해야 빠른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.
이는 빠르다는 말 안에 직관적으로 '아직' 과 '이미' 의 의미가 동시에 들어있기 때문으로,
말하자면 시각으로는 11시가 12시보다 이르다고 할 수 있지만
이미 12시를 살고 있는 사람은 아직 11시를 살고 있는 사람보다 더 빠른 시간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.
골치아프므로 그냥 단순하게 +9시간 으로 외워두는 편이 속 편하겠다.
윈도우에서도 사용하는 시간대의 확인이 가능하다.
상태표시줄 오른쪽 시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
[날짜/시간 조정]을 누른다.
중간에 현재 사용중인 시간대가
UTC + 09:00 으로 표기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아래는 굳이 몰라도 상관 없는 이야기.
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세계 표준시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한 GMT(Greenwich Mean Time, 그리니치 평균시)였다.
하지만 1972년 부터는 세슘 원자의 진동수를 이용한 UTC(Coordinated Universal Time, 협정 세계시)를 사용하고 있다.
시간대를 나누는 기준은 동일하고, 다만 1초의 단위를 좀 더 엄밀하게 정의한 것이므로
실 생활에서 사용할 때는 GMT나 UTC나 동일한 세계 기준 시각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되겠다.
혹 협정 세계시 Coordinated Universal Time 의 약자가 UTC가 아닌 것이 이상하게 생각될지도 모르겠다.
제정 당시 영국은 Coordinated Universal Time: CUT , 프랑스는 Temps Universel Coordonné : TUC 를 자국어의 순서에 따라 주장하다가
둘 다 아닌 UTC가 되었다고 한다.
'컴퓨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데이터프레임 다루기 (1) | 2022.03.28 |
---|---|
한글(hwp)문서 여러개 한꺼번에 하나로 합치기 (19) | 2020.02.13 |
[윈도우] 화면 캡쳐하여 파일로 저장하기 단축키 (0) | 2019.05.13 |
IFTTT에서 인스타그램 연결이 되지 않을 때(could not connect service) (0) | 2019.04.12 |
유튜브 반응형 영상 링크 삽입(embed) 소스 (3) | 2018.12.26 |
[컴퓨터] 그림판으로 화면 내 특정 색의 RGB값 알아보기 (0) | 2018.10.23 |
[크롬] 특정 사용자계정의 바로가기 만들기 (1) | 2018.10.11 |
구글 프레젠테이션에서 이미지 작업하기 (문서 크기 변경, 저장) (1) | 2018.10.08 |
외장하드 만들고 초기설정하기 (feat. MG877K) (3) | 2018.08.29 |
[파워포인트] 포토샵 대신 파워포인트 쓰기(문서 크기 조절, 그림으로 저장) (1) | 2018.06.15 |
댓글